1. 기원전 1800-1500에 유대인들이 캐나안 지역에 정착함.
2. 기원전 1000년경 유대인의 왕 다윗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삼아 이스라엘 왕국을 세움.
3. 이스라엘 왕국은 여러 외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특히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음.
4. 로마와의 종교 갈등으로 인해 유대인들은 유럽 및 중동 지역으로 추방됨.
5. 7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해당 지역의 전체 인구 중 유대인의 비율은 10% 언저리였음.
6. 유럽의 민족주의 움직임과 함께 시온주의가 부상하며 유대인들이 다시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함.
7. 영국의 밸푸어 선언을 통해 유대인들의 귀환을 지지함.
8. 유럽에서 홀로코스트와 반유대주의로 인한 박해로 인해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민이 크게 증가함.
9. 이민 증가로 인해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이 심화됨.
10. 1937년 영국의 Peel Commission라는 단체가 아랍인 70% , 유대인 30% 로 땅을 나누라고 제안함. 이에 아랍인들은 거절함 1937년 통계는 안보여서 대충 이슬람교 인은 67% 유대교도는 25%라고 치도록 하자
년도 | 이슬람교도 인구 | 유대교도 인구 | 기독교도 인구 |
1931 | 761,992(74%) | 175,138(17%) | 89,134(9%) |
1945 | 1,061,270(60%) | 553,600(31%) | 135,550(8%) |
추가적으로 1947년 까지 팔래스타인의 국토의 94%와 경작지 80%가 아랍인의 땅이였다고 함
11. 영국은 지역의 관리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UN에 문제를 넘기고 런함
12. 1947년 유엔 결의안 제181호를 통해 지역을 유대인 55%, 팔레스타인 45%로 나눔. 이스라엘은 국가 선포를 하며 팔레스타인 측은 이를 반대함.
13.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전쟁이 발생하고 팔래스타인은 패배 후 수 많은 이들이 추방당함
14. 이스라엘은 불법적으로 동예루살렘, 서안지구, 가자지구, 골란고원등등 지역에 정착촌을 설립하여 알박기를 함.
15. 팔레스타인 민간인들과 이스라엘 정착민 및 군인 간의 충돌로 팔레스타인 민간인 희생자 발생
16. 팔레스타인 게릴라 조직들이 이스라엘 민간인을 대상으로 테러 공격을 실시하여 이스라엘 민간인 희생자 발생
17. 갈등이 레바논으로 확산되며 또 다른 전쟁이 발생함.
18. 1987년 제1차 인티파다 발생.
19.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의 시민 불복종 운동과 이스라엘 군의 대응으로 인해 많은 사망자 발생
팔래스탄인 : 1603명 사망
이스라엘 : 시민 + 군인= 277명 사명
이스라엘 아랍인 또한 팔레스타인인들에게 공격당해 359명 사망
사망자 안에는 17세미만또한 다수 포함되어 있는걸로 파악됨
20. 오슬로 협정 체결.
21. 양측 모두 협정의 일부 조항을 완전히 준수하지 않음.
22. 양측 간의 불신으로 인해 갈등이 지속됨.
23. 이스라엘 극우였던 아리엘 샤론이 아리엘 성전산에 무장경찰을 대동하여 올라감.
이건 "이곳 성전산은 이스라엘의 것이다" 라고 말하는 꼴임
이에 팔래스타인 사람들이 돌을 던지며 항의를 함
아리엘 샤론이 발포명령을 내려 13명 사망 200명 부상
24. 제2차 인티파다 발생.
25. 그 후 양측 서로 계속 보복 공격 반복함
위에 정리해놓은 역사를 기준으로 이번 사건에 대해서 저는 이러한 생각이 들더군요.
"하마스가 왜 이런 행동을 했으며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왜 그들을 지지하는 것일까?"
하마스와 그들을 지지하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단순 똥 막대기들이라서 그런 건 아닐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 눈에는 하마스가 죽일 놈이고 이스라엘이 불쌍한 피해자로 보일 순 있겠지만 그들의 눈에는 조금 다르게 비치겠죠
팔레스타인 시민들에게는 하마스가 독립군, 해방군처럼 느꼈을 것이며 이스라엘은 자기네들 땅에 알박기한 침략한 나쁜 놈으로 보였겠죠
자기들의 종교에서 매우 중요한 예루살렘을 앗아간 얘들이니 더 미웠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자신들은 그저 약속한 땅을 받았을 뿐이라고 생각하겠죠. 하마스는 그걸 반대하는 나쁜 놈으로 보였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저는 둘 다 핍박과 피해를 주고받는 가해자이면서 피해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하마스를 용서하자는 말은 아닙니다.
잘못을 지었으니 그만한 책임은 반드시 지어야겠지요
하지만 이번 사건이 일어난 진짜 원인을 없애지 않는 한 그들에게만 책임을 지게하고 끝내더라도 제2, 제3의 하마스가 나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영국....또 너냐?
참고 자료 :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3965270
Israel-Palestine Conflict: The World’s Most Intractable Conflict
Israel-Palestine Conflict: The World’s Most Intractable Conflict 11 Pages Posted: 18 Nov 2021 Date Written: November 17, 2021 Abstract The state of Israel was created in 1948 after Britain withdrew its mandate from Palestine. The UN proposed partitioning
papers.ssrn.com
https://en.wikipedia.org/wiki/Mandatory_Palestine
Mandatory Palestin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British League of Nations mandate (1920–1948) This article is about the geopolitical entity. For the document granting Britain a mandate over both Palestine and the Emirate of Transjordan, see Mandate for Palestine.
en.wikipedia.org
'토론했던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출산의 원인과 해결 방안 (0) | 2023.08.26 |
---|---|
장제스가 윤봉길의사를 정말로 극찬하였는가? (0) | 2023.08.25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나의 생각 (0) | 2023.08.14 |
트럼프는 고보수주의자인가 신보수주의자인가 (0) | 2023.08.14 |
학생때부터 경제, 주식과 같은 교육을 하는것에 대한 이야기 (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