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단 한번도 경상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적이 없을 뿐만 아니라 2010년 이후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거의 4~8%의 흑자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이렇듯 경상수지 흑자가 발생할 때, 내수경기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는데 있다.
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내총생산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식 1 : GDP = 소비 + 투자 + 수출 - 수입
식 1에서 우변에 있는 소비를좌변으로 보내면 식을 식2와 같이 바꿀 수 있다.
식 2 : GDP - 소비 = 투자 + 수출 - 수입
식 2에서 좌변의 'GDP-소비'는 결국 경제의 입장에서 보면 저축이고, 우변의 '수출 - 수입-은 결국 경상수지에 해당하므로, 식3과 같이 식을 바꿀 수 있다.
식 3 : 저축 = 투자 + 경상수지
식 3의 우변에 있는 투자를 좌변으로 옮기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식 4 : 저축 - 투자 = 경상수지
식 4가 시사하는 바는 간단하다.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저축보다 투자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나날이 늘어나면 내수경기의 부진이 장기화 되는것을 방치하여 장기적으로 세수의 기반이 더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ymeleaf 컨버전 적용 (0) | 2023.10.26 |
---|---|
LOMBOK으로 클래스를 비교하는 법 (0) | 2023.10.25 |
HTML 화면 오류 vs API 오류 (0) | 2023.10.25 |
jackson사용법 (0) | 2023.10.24 |
인텔리제이 Getter, Setter, 생성자 등등 자동 생성 단축키 (0)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