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pull --rebase origin master
rebase를 쓰면 불필요한 병합 커밋을 한 번 줄일 수 있어 깔끔해진다.
리베이스 도중 충돌이 일어나면
git status명령으로 Unmerged Paths 부분에서 충돌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충돌을 해결 후
$ git add <some-file>
$ git rebase --continue
하면 리베이스가 재개된다.
리베이스중 뭔가 잘못되었다면
$ git rebase --abort를 쓰면 git pull -rebase하기 전으로 돌아간다.
$ git push -u origin miae-feature
miae-feature 브랜치를 중앙 저장소(origin)에 푸시하는 명령이다. -u | --set-upstream 옵션이 중요하다. 이는 로컬 기능 개발 브랜치와 중앙 저장소의 같은 이름의 브랜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번 연결한 후에는 git push 명령만으로 푸시할 수 있다.
$ git checkout -b some-feature develop
develop을 기준올 some-feature라는 브랜치 생성 명령어
////////////////////////////////////////////
gitflow workflow
master, hotfix, release, develop
master는 이력을 관리하는 브렌치
develop은 기능 개발을 위한 브랜치
새로운 버전을 낼 만큼 develop에 기능 개발이 되었다면
develop에서 release라는 브랜치를 만들고 오류 수정 등등을 한 후 master에 release 브랜치를 병합한다.
만약 깨끗하게 하고싶다면 rebase를 써도 된다.
또 만약 master에서 버그가 발생하여 신고를 받게될 경우 이번에는 master에서 hotfix 브랜치를 만들어서 오류 수정 후 다시 master에 병합니다.
/////////////////////////
Forking Workflow는 gitflow workflow의 확장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gitflow workflow의 develop브랜치가
Forking Workflow에서는 다른 유저가 fork해간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https://blog.appkr.dev/learn-n-think/comparing-workflows/
Git을 이용한 협업 워크플로우 배우기
이 문서는 Atlassian社에서 쓴 ‘Getting Git Right’ 튜토리얼 중 ‘Comparing Workflows’라는 글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총 네 개의 워크플로우를 소개한다. Centralized Workflow Feature Branch Workflo
blog.appkr.dev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pull충돌 시 (0) | 2024.03.26 |
---|---|
git A브랜치 기준으로 B브랜치 반들기 (0) | 2024.02.16 |
git branch 네이밍 규칙 (1) | 2024.02.16 |
깃 컨벤션 (0) | 2023.12.06 |